카테고리 없음 / / 2023. 5. 7. 18:41

태풍시 대비와 베란다 창문,창틀 보호 행동요령

태풍은 열대 지방에서 발생하는 강력한 회오리바람으로, 우리나라는 여름철부터 가을까지 태풍의 영향을 받습니다. 태풍은 해상에서 발생하며, 수십 km/h 이상의 바람과 폭우를 동반합니다. 또한, 해일과 강풍으로 인해 많은 피해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1. 태풍이 예상되면 대비해야 할 일

태풍이 예상되면 가장 먼저 할 일은 주변 상황을 적극적으로 파악하는 것입니다.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태풍 정보를 꾸준히 체크하고, 주변의 수위나 하천 수위, 지하철 운행 상황 등을 파악해야 합니다. 또한, 태풍이 예상되는 지역에서는 향후 일정에 대한 계획을 변경하는 것이 좋습니다.

 

태풍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때는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해야 합니다. 집안에 계신 경우에는 창문을 꼭 닫아놓고, 비상용 물과 식량 등을 준비해야 합니다. 또한, 전기, 가스 등은 끄고, 밖으로 나가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외출해야 하는 경우에는 미리 장비를 준비하고, 외출 전 주변 상황을 파악해야 합니다  또한 가장 먼저 집 주변의 안전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가지런히 정리되어 있지 않은 물건들은 바람에 날아갈 우려가 있으므로, 정리정돈이 필요합니다. 또한, 가스나 전기 등이 차단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위험한 나무나 전봇대 등은 바로 처리해야 합니다.

 

2. 태풍시 베란다 창문, 창틀을 보호하는 방법

1. 먼저, 창문을 튼튼하게 고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창문 가장자리에는 튼튼한 나사나 고정용 스티커를 사용하여 창문을 고정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2. 베란다 창문 쪽 실리콘 있는 부분에는  테이프를 붙여주시고 또한 창틀과 창문의 빈틈 속에 고정을 시킬 수 있는 종이뭉치나 수건 등을 이용해 바람이 세게 불어도 흔들리지 않게 끼워 넣어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창문에 투명한 비닐을 붙이는 것도 태풍 대비에 좋습니다.  신문지를 이용하신다면 젖어있는 신문지오 창문전체에 붙여주시면 강한 태풍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비닐은 창문을 완전히 덮지 않고, 일부 공간을 남겨 두어 환기가 가능하도록 해야 합니다. 비닐은 창문에 고정하는 것이 좋으며, 비닐을 붙인 후 창문 가장자리를 나사나 스티커로 고정시켜야 합니다.

 

4. 자주 사용해 왔던 창문에 테이프를 붙이는 방법은 흔히 알고 있는 X자보다는 네모난 모양으로 붙이는 것이 더 좋지만 일단 네모난모양으로 가장자리에 붙인 후 안쪽으로 X자를 하시는 방법이 흔들림도 덜하고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5. 베란다 창문을 닫기 전에 주변 상황을 체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태풍이 예상되는 지역이라면 창문을 완전히 닫아 두는 것이 좋으며, 실외의 물건이나 가구 등이 창문에 부딪히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거주지의 창문이나 창틀, 베란다새시등 노후된 것들이 있으면 수리나 교체는 우선적으로 해두시는 것이 제일 중요합니다.

 

 

3. 태풍시 행동요령

태풍은 매년 여름철부터 가을까지 우리나라를 강타하기 때문에, 대비할 준비가 필요합니다. 태풍이 예상되면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꾸준히 체크하고, 주변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태풍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때에는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태풍 이후에는 주변 상황을 철저히 확인해야 합니다. 이러한 준비와 대처를 통해, 우리 모두가 태풍에 대비할 준비를 갖추어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1. 정보 파악: 정부 또는 지역 당국에서 발표한 최신 기상 예보 및 태풍 경보를 파악합니다.

2. 비상 대비 물품 준비: 적어도 3일간의 음식, 물 및 필수품을 준비합니다. 응급 처치 키트와 필요한 약도 함께 준비합니다. 3. 주변 시설물 보호: 집 주변에 있는 유실물이나 폐기물을 정리해 안전하게 보관합니다. 창문과 문을 확인하여 강풍에도 안전한지 확인합니다.

4. 대피 명령에 따르기: 침수나 산사태 위험이 있는 지역에 거주하는 경우, 당국이 대피를 권고하면 즉각적으로 대피합니다. 지정된 대피소나 대피센터로 이동합니다.

5. 실내 대기: 대피가 어려운 경우, 실내에 머무르며 창문에서 떨어질 물체와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강풍이 너무 강해지면 집 안에서 안전한 장소로 이동합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